-
나침반은 붉은색 자침이 항상 북쪽(N)을 가리키는 원리를 이용해 방향을 찾는 기구입니다. 나침반 보는 방법의 핵심은 자침이 가리키는 방향과 나침반 문자판의 N을 일치시킨 후, 이를 지도상의 북쪽과 맞추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현재 위치와 가야 할 방향을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나침반 보는 방법 기본 원리
가장 기본적인 나침반 보는 방법은 나침반의 핵심 구성 요소를 이해하는 것에서 시작됩니다. 모든 나침반에는 방향을 가리키는 자침(바늘)이 있으며, 이 자침의 붉은 쪽은 항상 북쪽(North)을 향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나침반의 동그란 판을 다이얼 또는 문자판이라고 부르며, 이곳에는 동(E), 서(W), 남(S), 북(N)의 방위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정확한 방향을 찾기 위해서는 먼저 나침반을 평평한 곳에 놓아야 합니다.
지도와 함께 나침반을 사용하는 것을 독도법이라고 합니다. 먼저 지도를 평평하게 펼쳐 놓습니다. 그 위에 나침반을 올리고, 나침반의 붉은 자침이 가리키는 방향과 나침반 다이얼의 N 표시를 일치시킵니다. 이 상태가 바로 자북(자침이 가리키는 북쪽)을 정렬한 것입니다.
그 다음, 지도에 표시된 북쪽 방향(보통 위쪽)과 나침반의 N 방향을 똑같이 맞춰주면, 지도를 올바른 방향으로 놓고 볼 준비가 완료됩니다.
나침반 응용 및 활용법
만약 지도에서 현재 내 위치를 정확히 모를 때는 주변 지형지물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지도에 표시된 산봉우리, 큰 건물, 강 등 눈에 잘 띄는 지형지물 2~3개를 정합니다. 각 지형지물을 바라보며 나침반으로 방위각을 측정한 후, 지도에 해당 방향으로 선을 긋습니다. 이 선들이 교차하는 지점이 바로 현재 자신의 대략적인 위치가 됩니다. 이를 삼각측량법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현재 위치와 목표 지점을 지도에서 확인했다면, 이제 이동할 차례입니다. 지도 위에서 현재 위치와 목표 지점을 직선으로 연결하고, 나침반의 진행선(보통 화살표 모양)이 목표 지점을 향하도록 놓습니다. 그 다음, 다이얼을 돌려 붉은 자침과 다이얼의 N 표시를 일치시킵니다. 이제 나침반을 눈높이로 들고, 몸 전체를 돌려 붉은 자침이 다시 다이얼의 N 안에 들어오도록 맞추세요. 그러면 진행선이 가리키는 방향이 바로 여러분이 나아가야 할 목표 방향입니다.
알아두면 좋은 방향 찾기 상식
나침반이 없을 때도 방향을 가늠할 방법들이 있습니다. 북반구에서는 밤에 북극성을 찾아 북쪽을 알 수 있고, 낮에는 아날로그 시계의 시침을 태양으로 향하게 한 뒤 시침과 12시의 중간 방향으로 남쪽을 찾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방법들은 나침반만큼 정확하지 않으니 비상시에만 참고용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요즘에는 스마트폰에 GPS와 지자기 센서가 내장되어 있어 나침반 앱을 손쉽게 쓸 수 있습니다. 앱을 실행하면 즉시 현재 방향을 알려주고 지도와 연동되어 길 찾기도 지원해 매우 편리합니다. 다만, 강한 자성이나 금속 물체 주변에서는 오류가 생길 수 있으므로, 야외 활동 시에는 실물 나침반을 함께 준비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나침반은 단순한 휴대용부터 전문가용까지 종류가 매우 다양합니다. 가장 흔한 베이스플레이트 나침반은 투명한 밑판에 눈금자와 진행선이 있어 독도법에 유리합니다. 렌즈식 나침반은 렌즈를 통해 정밀하게 방위각을 읽을 수 있어 군용으로도 쓰입니다. 최근에는 고급스러운 디자인의 장식용 나침반도 쉽게 볼 수 있는데, 인테리어 소품으로도 훌륭한 역할을 합니다. 어떤 종류든 기본적인 원리는 같으니, 목적에 맞는 것을 선택하면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