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건설기술인협회 경력확인서
    정보
    건설기술인협회 경력확인서는 집에서 컴퓨터를 사용해서 간단하게 발급받을 수 있어요. 한국건설기술인협회 홈페이지에 접속한 뒤에, 로그인을 하고 증명발급 메뉴를 통해서 신청하면 됩니다. 직접 협회를 찾아가거나 회사에서 대신 처리하는 방법도 있지만, 온라인으로 하는 것이 가장 편리합니다.

     

    건설기술인협회 경력확인서 발급 방법 알아보기

     

    건설기술인 경력확인서를 받으려면 가장 먼저 인터넷 검색창을 열어서 '한국건설기술인협회'라고 검색해야 해요. 여러가지 사이트가 나올 수 있지만, 가장 위에 뜨는 공식 홈페이지로 들어가야 정확한 정보를 얻고 서류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이상한 곳으로 들어가면 안 되니까 꼭 주소를 잘 확인하고 한국건설기술인협회 공식 홈페이지로 접속해주세요. 모든 절차는 여기서부터 시작됩니다.

     

    홈페이지에 처음 들어가면 여러 가지 메뉴들이 보여서 조금 복잡해 보일 수 있어요. 하지만 걱정할 필요 없이 화면 가운데쯤에 있는 '증명발급'이라는 글자를 찾아서 눌러주시면 됩니다. 여기가 바로 우리가 필요한 경력확인서를 포함한 여러 증명 서류를 신청하는 곳으로 들어가는 입구입니다. 다른 메뉴는 신경쓰지 않으셔도 괜찮아요.

     

    증명서를 발급받는 것은 개인 정보가 필요한 일이라서 로그인을 꼭 해야만 해요. 로그인을 하려면 먼저 컴퓨터에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하라는 안내가 나올 수 있는데, 안전한 이용을 위해 꼭 설치를 진행해야 합니다.

     

    설치가 끝나면 공동인증서(예전 공인인증서)나 간편인증, 또는 미리 만들어 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사용해서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본인이 가장 편한 방법을 선택해서 로그인을 완료해주세요.

     

    로그인을 성공적으로 마쳤다면, 화면 왼쪽을 봐주세요. 여러 메뉴들이 세로로 나열되어 있을 거예요. 그 중에서 '경력관리안내'라는 큰 항목을 찾고, 그 아래에 있는 '증명서의 신청'이라는 작은 메뉴를 클릭하면 됩니다. 이곳에서 본격적으로 경력확인서 발급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경력확인서를 신청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지금처럼 인터넷을 이용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직접 협회를 찾아가는 방법이에요. 인터넷으로 신청할 때는 본인이나 소속된 회사에서 로그인한 뒤에 비용을 결제하고 바로 출력할 수 있어서 아주 편리합니다.

     

    만약 직접 찾아가야 한다면, 본인이 갈 때는 신분증만 챙기면 됩니다. 하지만 다른 사람(대리인)이 대신 가거나 회사 직원이 가는 경우에는, 정해진 신청서를 미리 작성하고 대리인의 신분증도 함께 챙겨가야 하니 잊지 마세요.

     

    증명서를 발급받을 때는 정해진 비용을 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건설기술경력증'이라는 것을 신청할 때는 수수료가 8천원이에요. 만약 직접 찾아가지 않고 우편으로 받기를 원한다면, 우편 요금 3,530원이 추가로 필요합니다.

     

    그리고 경력증에는 본인 사진이 들어가기 때문에 증명사진 1장이 필요하다는 점도 꼭 기억해주세요. 미리 준비해두면 더 빠르게 일을 처리할 수 있겠죠.

     

    건설기술인 경력증명서나 보유증명서 같은 서류들을 인터넷으로 신청하는 과정은 매우 간단합니다. 홈페이지에서 안내하는 순서에 따라 차근차근 진행하기만 하면 돼요.

     

    신청할 서류를 선택하고 필요한 정보를 입력한 뒤에, 정해진 비용을 결제하고 나면 바로 프린터로 증명서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집이나 사무실에 프린터만 있다면 언제든지 쉽게 받을 수 있어요.

     

    만약 인터넷이 아니라 직접 협회를 방문해서 서류를 받아야 한다면, 미리 챙겨야 할 것들이 있어요. 본인이 직접 가는 경우에는 신분증만 있으면 됩니다. 하지만 다른 사람이 대신 가는 경우에는 미리 작성한 신청서와 함께 가는 사람의 신분증, 그리고 본인 신분증의 사본이 필요해요.

     

    소속된 회사에서 직원이 대신 가는 경우에는, 회사용 신청서를 작성하고 방문하는 직원의 신분증을 제시해야 합니다. 각 상황에 맞게 서류를 잘 챙겨야 두 번 걸음하는 일이 없어요.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