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네이버 초시계, 시계 초단위
    정보

    네이버 초시계는 네이버 검색창에 '초시계'나 '실시간시계'라고 검색하면 바로 이용할 수 있어요. 네이버 서버 시간을 기준으로 보여주기 때문에 아주 간편하지만, 인터넷 환경에 따라 약간의 시간 오차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아주 정확한 초단위 시간이 필요하다면 네이비즘 같은 다른 전문적인 곳을 확인하는 게 더 좋을 수 있답니다.

     

    네이버 초시계, 시계 초단위

     

    제일 먼저 네이버 초시계를 보기 위해서는 당연히 네이버로 들어가야겠죠. 다들 아시는 초록색 검색창에다가 ‘초시계’ 라고 검색만 해주면 바로 화면에 시간이 나타나서 정말 편리해요.

     

    따로 어디를 찾아 들어가거나 복잡한 절차 없이 그냥 검색 한 번이면 초단위 시계가 바로 뜨니까 급하게 시간이 궁금할 때 아주 좋답니다. 이렇게 간단하게 현재 시간을 초 단위까지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이에요.

     

    네이버 초시계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냥 현재 시간만 알려주는 게 아니랍니다. 최근에는 업데이트가 되어서 인터파크 티켓 같은 특정 사이트의 서버 시간을 같이 보여주기도 해요.

     

    이건 콘서트나 기차표 예매처럼 1초가 중요한 상황에서 아주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기능이죠. 내가 원하는 곳의 서버 시간을 네이버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으니 따로 다른 곳에 들어갈 필요가 없어서 편해요.

     

    하지만 한 가지 알아두어야 할 점이 있어요. 네이버 초시계는 인터넷을 통해 서버에서 시간 정보를 받아와 우리 눈에 보여주는 방식이에요. 그래서 만약에 우리 집 인터넷이 조금 느리거나 컴퓨터가 버벅댄다면, 실제 서버의 시간과 화면에 보이는 시간이 아주 미세하게 차이가 날 수도 있답니다.

     

    물론 그 차이가 엄청나게 큰 건 아니지만, 정말 0.1초의 오차도 없어야 하는 중요한 일에는 조금 아쉬울 수 있다는 뜻이에요. 이건 네이버 시계만의 문제가 아니라 웹페이지에서 보여주는 시간은 대부분 그렇다고 생각하면 쉬워요.

     

    그래서 정말로 아주 정확한 시간이 필요할 때는 지금 보고 계신 컴퓨터나 스마트폰에 있는 기본 시계를 믿는 것이 더 좋을 수 있습니다. 이런 기기들은 보통 인터넷 시간 서버라는 곳과 자동으로 시간을 맞추는 기능이 들어있거든요.

     

    이걸 동기화라고 부르는데, 주기적으로 시간을 딱딱 맞춰주기 때문에 웹페이지에서 불러오는 시간보다 오차가 적을 확률이 높아요. 그러니 중요한 업무를 할 때는 기기 자체의 시계를 참고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현명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네이버 초시계가 쓸모없다는 뜻은 절대 아니에요. 일상생활에서 초 단위까지 시간을 확인하고 싶을 때 이만큼 간편하고 보기 쉬운 것도 드물거든요.

     

    특히 다른 나라 시간을 바로바로 확인해야 하거나, 운동할 때 시간을 재는 등 여러 상황에서 아주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어요. 화면도 큼직해서 한눈에 시간이 잘 들어온다는 점도 무시 못 할 장점 중 하나랍니다.

     

    마지막으로 네이버 초시계는 추가적인 정보들도 함께 제공해줘서 생활에 도움을 줘요. 예를 들면 오늘 해가 뜨는 시간(일출)이나 해가 지는 시간(일몰) 같은 정보도 알려주고요.

     

    또는 특별한 날까지 얼마나 남았는지 D-day 정보 같은 것도 같이 보여줄 때가 있어서 그냥 시간만 확인하는 것 이상의 재미와 정보를 얻을 수 있답니다. 이런 소소한 기능들 덕분에 더 많은 사람들이 찾게 되는 것 같아요.

    댓글

Designed by Tistory.